川流不息(천류불식)
 : 내가 흘러 쉬지 아니하니 군자의 행동거지(꾸준한 노력)를 말한 것이며

내 천

흐를 류

아닐 불

쉴 식

 淵澄取映(연징취영)
 : 연못이 맑아서 비치니 즉 군자의 고요한 마음을 말한 것이다.

못 연

맑을 징

취할 취

비칠 영

 

川流不息하고 淵澄取映이라.

 

냇물은 흘러서 쉬지 않고, 깊은 못의 물은 맑디맑아서 속까지 비쳐 보인다.

 

 

(공자)는 냇물이 쉬지 않고 흐르는 것을 볼 때마다 “물이로다.” 하고 탄식했다. 주야를 가리지 않고 흘러가는 냇물을 보며 인간이 저렇게 수양을 한다면 성인이 될 수가 있었을 것이라고 탄식했을 것이다. 작은 물줄기가 졸졸 흐르지만 쉬지 않고 흘러가므로 마침내 큰 강에 이르고 또 (대해)로 들어가는 것이다. ≪(논어)≫ (자한)편에 “가는 것은 이와 같겠지, 밤낮을 가리지 않으니 서자여사부 불사주야”를 다시 쓴 말이다. 自强不息(자강불식)이라는 말이 ≪(주역)≫에 있다. 곧 스스로 굳세어 쉬지 않는다는 말이다. 자강불식에서 천류불식이라는 말이 뜻하는 바를 유추할 수 있다. 천류불식은 높은 덕을 이루기 위한 끊임없이 정진하는 것이며, 천류불식과 같이 행한다면 인간은 연징취영의 상태에 도달한다. 사람이 덕을 닦는 데 게을리하지 않고 학문을 깊이 연구하기를 쉬지 않는다면 큰 사람이 될 수 있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천류불식연징취영 [川流不息淵澄取映]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군자 이야기 2 - 홀로 높고 밝게 보아야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似蘭斯馨(사란사형)
 : 난초가 은은한 향기를 풍기듯 꽃다우니 군자의 지조를 비유한 것이다.

같을 사

난초 란

이 사

향기 형

 如松之盛(여송지성)
 : 소나무같이 푸르러 성함은 군자의 절개를 말한 것이다.
 : 의 지(~: 관형격 조사), 이 지(이것은 : 지시 대명사)

같을 여

소나무 송

갈 지

성할 성

 

似蘭斯馨하고 如松之盛이라.

 

난초 향기와 비슷하고, 소나무가 다옥한 것과 같다.

 

 

(효경)≫에는 “효도는 덕의 근본이니 여기에서 교육이 시작된다( 부효자덕지본야 교지소유생야)”고 했다. 덕은 난초와 같이 멀리까지 향기를 풍기고, 눈 위에서도 시들지 않는 송백과 같은 무성함이 있다. 꽃은 수수하지만 그윽한 향기가 멀리까지 퍼져 나가는 (난)은 예로부터 (군자)의 (덕화)에 비겨졌고, 사시사철 늘 푸른 소나무는 군자의 꿋꿋한 절개에 비겨졌다. 그러므로 효자 된 명성은 마치 향기로운 난초와 같이 멀리까지 미치고, 나라를 위한 절개는 (송백)처럼 (설중)에서도 獨也靑靑(독야청청)하다고 한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사란사형여송지성 [似蘭斯馨如松之盛]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군자 이야기 1 - 군자를 비롯한 동물과 식물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臨深履薄(임심리박)
 : 깊은 곳에 임하듯 하며 얇은 얼음을 밟듯이 세심 주의하여야 한다.

임할 림

깊을 심

밟을 리

얇을 박

 夙興溫淸(숙흥온정)
 : 일찍 일어나서 잠자리가 추우면 덥게, 더우면 서늘케 하는 것이 부모 섬기는 절차이다.  으로 쓰인 곳도 있음

일찍 숙

흥할 흥

따뜻할 온

서늘할 정

 

臨深履薄하고 夙興溫凊하라.

깊은 연못을 앞에 두고 있는 듯 살얼음을 밟는 듯이 하고, 일찍 일어나서 따뜻한지 서늘한지를 살핀다.

 

- ≪禮記(예기)≫ 曲禮(곡례)에도 “대체로 사람의 자식 된 예는 부모를 섬김에 있어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리며, 날이 어두우면 자리를 펴드리고

   새벽에는 잘 쉬셨는가 살펴야 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이른바 昏定晨省(혼정신성)이라 함은 이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出必告反必面 (출필고반필면) 이라는 말이 있다.

   외출할 때에는 고하고 나가고 귀가해서는 뵙고 인사를 드리라는 말이다.

   직장에서도 이문장은 적용될 수 있다.

   상사를 보좌하는 참모진은 항상 상사의 움직임과 심리상태를 파악하여 대응할 준비를 하여야 한다.

   기업이든 정부든 조직에서 근무하는 사람은 인사권을 가지고 있는 상사의 눈치를 살펴야 한다.

   소위 '아부'라고도 할 수 있는 보좌 행위는 윗 사람을 모시는 부하 입장에서는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고,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러면 어떻게 '아부'할 것인가?

   본 문장으로 해석하자면 보고를 잘 하라는 이야기이다.

   출.퇴근 이든 외출이든 6화 원칙에 따라 사저에 보고하면 나중에 문제가 생겨도 해결될 수가 있고, 소위 찍히지 않는다.

   군대에서 공격에 실패한 장수는 용서가 되어도 경비에서 실패한 장수는 용서받을 수 없다고 한다.

   조직에서 보고를 소홀히 하여 상사로부터 찍히는 예는 비일비재하다.

   사소한 것부터 보고를 철저히 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조직내에서 생존하는 길이다.

   두 번째 문장은 사전에 준비를 잘 하라는 이야기이다.

   일본의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추운 겨울 일찍 일어나 상사의 신발을 가슴에 품어 따뜻하게 하여 인정을 받았다는 일화가 있다.

   대단한 충성심이고 아부이다.

   누구든 이에야스와 같이 한다면 인정 못 받는 부하는 없다.

   다만 그것이 진정한 마음과 일치할 경우 효과가 크지만 보여주기 위한 행위로 인식될 경우는 조직내에서 왕따가 될 수도 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바보가 아님담에야 신발 품어주는 것만으로 이에야스를 발탁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기본적인 자세가 바른가의 문제이고, 심성이 바른가의 문제이다.

   아무리 성과가 뛰어나고 실력이 있어도 기본이 안된 사람은 오래 갈 수가 없다.

   노부모님 살피듯이 상사의 움직임을 살피고 사전에 준비해 주는 자세야말로 조직에서 성장하는 기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증자와 『효경(孝經)』 이야기 3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孝當竭力(효당갈력)
 : 부모에게 효도할 때에는 마땅히 힘을 다하여야 하며

효도 효

마땅할 당

다할 갈

힘 력

 忠則盡命(충즉진명)
 : 충성함에는 곧 목숨을 다하여야 하니 임금을 섬기는 데 몸을 사양해서는 안된다.

충성 충

곧 즉

다할 진

목숨 명

 

 

孝當竭力하고 忠則盡命하라.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을 다해야 한다.

 

효도는 마땅히 있는 힘을 다해 할 것이요, 나라에 충성하고자 하면 목숨을 바칠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 ≪(논어)≫ (학이)편에 보면 “자하가 말하기를, 부모를 섬기는 데는 그 힘을 다할 것이요, 임금을 섬기는 데는 그 몸이 다하도록 해야 한다( 자하왈 사부모 능갈기력 사군 능기치신).”고 했다. (회의자)로 된 (충효)라는 두 글자를 풀이해 보면, (충)은 (중)과 (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기의 중심을 다 바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고, (효)는 (노)에 (자)가 붙어 있어, 늙은 부모를 자식이 업어서 섬긴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효도에는 힘을 다할 것이나 충성에는 목숨을 바친다는 글귀를 보면 옛날에는 효도보다 충성을 더 중시한 듯하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효당갈력충즉진명 [孝當竭力忠則盡命]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공자의 언행록 - 『논어(論語)』 이야기 3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資父事君(자부사군)
 : 부모 섬기는 효도로 임금을 섬겨야 하니

자료 자

아비 부

섬길 사

임금 군

 曰嚴與敬(왈엄여경)
 : 임금을 대하는 데는 엄숙함과 공경함이 있어야 한다.

가로 왈

엄할 엄

줄 여

공경할 경

 

資父事君하니 曰嚴與敬이라.

부모 섬기는 것을 바탕삼아 임금을 섬기니, 이것을 엄숙함과 공경함이라 이른다.

 

아비 섬기는 마음을 취하여 나라를 섬겨야 하되 엄격하고 공경함이다. 이 말은≪(효경)≫에 ‘아비 섬기는 마음을 바탕으로 임금을 섬긴다( 자어사부 이사군)’는 글귀를 다시 쓴 것이다. ≪(백호통의)≫에 보면 ‘부자 사이에 있어서 아비는 법이니 법도로 자식을 가르치는 것이고, 자식은 부모가 낳아서 길러 준 것이니 제 몸이 따로 있을 수 없다’고 했다. 부모를 섬기는 마음으로 임금을 섬기고, 섬길 때는 엄격하게, 공경을 다하여 섬기라는 말이다. 곧 (군사부)는 (일체)이므로 섬기는 도리도 같다는 말이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자부사군왈엄여경 [資父事君曰嚴與敬]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증자와 『효경(孝經)』 이야기 2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尺璧非寶(척벽비보)
 : 한 자 되는 구슬이라고 해서 결코 보배라고는 할 수 없고

자 척

구슬 벽

아닐 비

보배 보

 寸陰是競(촌음시경)
 : 한 자 되는 구슬보다도 잠깐의 시간이 더욱 귀중하니 시간을 아껴야 한다.

마디 촌

그늘 음

옳을 시

다툴 경

 

尺璧非寶寸陰是競하라.

한 자 되는 구슬이 귀하게 여길 보배가 아니라, 한 치의 짧은 시간을 다투어 아껴야 한다.

 

한 자의 (벽옥)이 보배가 아니요, 한 치의 (광음)이야말로 보배이니, 분초를 다투며 공부하고 수양해야 한다. 이것은 성현에만 국한되는 말이 아니다. 성공한 사람을 보면 늘 시간을 아껴 일을 했다. ≪(진서)≫ (도간전)에도 “도간이 항상 남에게 말하기를, (대우)는 성인이면서도 (촌음)을 아꼈으니, 보통사람으로서는 한 푼의 짧은 시간도 마땅히 아껴야 한다.”고 했다. 우임금은 햇빛이 한 치쯤 옮겨가는 것도 아낄 정도였으니 참으로 부지런히 살았다는 말이다. 우임금은 (하)나라 창업주이다. 또 ≪(회남자)≫ (원도훈)에 보면 “해도 돌고 달도 돌아 시간은 사람과 같이 있으려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은 한 자나 되는 큰 보배는 귀하게 여기지 않아도 한 치의 시간은 소중히 여긴다. 시간이란 얻기는 어려워도 잃기는 쉽기 때문이다.”라고 나와 있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척벽비보촌음시경 [尺璧非寶寸陰是競]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촌음(寸陰)을 아껴 자연을 이긴 우왕(禹王)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禍因惡績(화인악적)
 : 재앙은 악을 쌓음으로 인한 것이므로 재앙을 받는 이는 평소에 악을 쌓았기 때문이다.

재앙 화

인할 인

악할 악

쌓을 적

 福緣善慶(복연선경)
 : 복은 착한 일에서 오는 것이니 착한 일을 하면 경사가 온다.

복 복

인연 연

착할 선

경사 경

 

禍因惡積이요 福緣善慶이라.


재앙을 불러들이는 것은 평소 악한 짓을 쌓았기 때문이고, 행복은 평소 좋은 일을 쌓아 얻은 경사이다

 

이 글귀는 ≪(역경)≫의 “착한 일을 많이 한 집에는 반드시 경사가 있고, 착하지 못한 일을 많이 한 집에는 반드시 언짢은 일이 있다( 적선지가필유여경 적불선지가 필유여앙).”를 다시 쓴 것이다.(화난)은 악이 쌓임으로 인한 것이고, 복은 선행과 경하할 일에서 연유하는 것이니 우연한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 옛날 어르신들의 말에도 “옛날부터 하늘은 착한 자의 편을 든다.”고 했다. 인간들의 삶이 악행으로 악을 낳고 선행으로 선을 낳는다고 보는 것이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화인악적복연선경 [禍因惡績福緣善慶]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재앙과 행복은 어디에서 오나?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空谷傳聲(공곡전성)
 : 산골짜기에서 크게 소리치면 울려 퍼져 그대로 전해진다. 즉 악한 일을 당하게 된다.

빌 공

골짜기 곡

전할 전

소리 성

 虛堂習聽(허당습청)
 : 빈방에서 소리를 내면 울려서 다 들린다. 즉 착한 말을 하면 천리 밖에서도 응한다.

빌 허

집 당

익힐 습

들을 청

 

 

空谷傳聲하고 虛堂習聽하니라.

 

텅 빈 골짜기에서도 소리는 전해지듯, 빈 대청에서는 들림이 겹쳐지듯 한다.

 

(유덕군자)의 말은 마치 빈 골짜기에 산울림이 전해지듯 멀리 퍼져 나가고, 사람의 말은 빈 집에서 해도 (신)은 익히 들을 수가 있다. ≪(역경)≫에 이르기를 “군자가 집안에서 하는 말이 훌륭하면 천 리 밖에서도 따르게 마련이니, 하물며 가까운 곳에서이겠는가( 역왈 군자거기실 출기언선 즉천리지외응지 황기이자호)?” 하였으니, 군자는 누가 보고 듣는 것과 관계없이 언제나 올바른 말과 행동을 해야 된다는 말이다. ≪(문선)≫의 (장화여사잠)에 “그러나 말은 아무리 작게 해도 거기엔 영화와 치욕이 따른다. 아무도 없는 어두운 곳이라 해도 신령스러운 눈은 어디에서나 보고 있다. 소리가 없는 광막한 들판에서도 신은 듣는다”라는 말이 나온다. 우리나라 속담에도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말이 있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공곡전성허당습청 [空谷傳聲虛堂習聽]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만물의 근본원리를 담은『주역(周易)』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德建名立(덕건명립)
 : 항상 덕을 가지고 세상 일을 행하면 저절로 이름도 서게 되고

덕 덕

세울 건

이름 명

설 립

 形端表正(형단표정)
 : 몸 형상이 단정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또한 그것이 겉으로 드러난다.

모양 형

바를 단

겉 표

바를 정

 

 

德建名立하고 形端表正이라.

 

덕이 세워지면 이름이 서게 되고, 차림새가 깔끔해야 겉모습이 바르게 된다.

 

덕을 성취하면 꽃다운 이름이 세상에 나타나는 법이니, 그것은 마치 모습이 바르면 그림자 역시 바른 이치와 같은 것이다. (덕)이란 알맹이를 말하고 (명)이란 그 알맹이를 나타내는 이름이니, 속이 알차면 이름은 저절로 드러나게 마련이라는 것이 ‘(덕건명립)’이다. ‘(형단표정)’은 ≪(예기)≫의 “겉모습이 똑바르면 그림자 또한 똑바르다( 형정즉 영필단)”를 다시 쓴 것이다. 또 (공자)도 “표면이 바르면 어느 것인들 바르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한 바 있다. 이렇듯 형체를 그 그림자로 알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은 말이나 겉모양, 일상의 행위 등에서 됨됨이를 뚜렷이 알 수 있다는 뜻이다. 공자는 “그대가 올바른 것으로 솔선수범하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겠는가?”라는 말도 하였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덕건명립형단표정 [德建名立形端表正]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고대 중국을 지배한 관습법 - 『예기(禮記)』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景行維賢(경행유현)
 : 행실을 훌륭하게 하고 당당하게 행하면 어진 사람이 되고
 : 경치 경, 모양 경, 클 경, 우러를 경

볕 경

다닐 행

바 유

어질 현

 克念作聖(극념작성)
 : 성인의 언행을 잘 생각하여 수양을 쌓으면 자연히 성인이 됨을 말한다.
 , =이길 극

이길 극

생각 념

지을 작

성인 성

 

景行維賢하고 克念作聖이라.

큰길을 걸어가는 사람은 어진 사람이 되니, 자잘한 생각을 이겨 나간다면 (성인)이 될 수 있다.

 

 

(시경)≫에 이르기를 “높은 산을 우러러보고 마땅한 도리를 행한다( 고산앙지 경행행지)” 하였고, ≪(서경)≫에 이르기를 “(성인)도 잘못된 마음을 가지면 (광인)이 되고, 광인이라도 생각을 잘 하면 성인이 될 수 있다( 유성 망념작광 유광 극념작성)”고 하였다. 따라서 큰 도를 행하면 어진 이가 되고, 자잘한 생각을 버리고 도의를 생각할 줄 알면 (성인)이 된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경행유현극념작성 [景行維賢剋念作聖]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현인(賢人)과 성인(聖人)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한자 사전

Posted by 물간제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