景 |
行 |
維 |
賢 |
景行維賢(경행유현) |
볕 경 |
다닐 행 |
바 유 |
어질 현 | |
克 |
念 |
作 |
聖 |
克念作聖(극념작성) |
이길 극 |
생각 념 |
지을 작 |
성인 성 |
景行維賢하고 克念作聖이라.
큰길을 걸어가는 사람은 어진 사람이 되니, 자잘한 생각을 이겨 나간다면 聖人(성인)이 될 수 있다.
≪詩經(시경)≫에 이르기를 “높은 산을 우러러보고 마땅한 도리를 행한다(高山仰止 景行行止 고산앙지 경행행지)” 하였고, ≪書經(서경)≫에 이르기를 “聖人(성인)도 잘못된 마음을 가지면 狂人(광인)이 되고, 광인이라도 생각을 잘 하면 성인이 될 수 있다(維聖 罔念作狂 維狂 克念作聖 유성 망념작광 유광 극념작성)”고 하였다. 따라서 큰 도를 행하면 어진 이가 되고, 자잘한 생각을 버리고 도의를 생각할 줄 알면 聖人(성인)이 된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경행유현극념작성 [景行維賢剋念作聖]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현인(賢人)과 성인(聖人)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28[空谷傳聲 虛堂習聽] (0) | 2015.10.13 |
---|---|
천자문 27[德建名立 形端表正] (0) | 2015.10.12 |
천자문 25[墨悲絲染 詩讚羔羊] (0) | 2015.10.06 |
천자문 24[信使可覆 器欲難量] (0) | 2015.10.02 |
천자문 23[罔談彼短 靡恃己長] (0) | 2015.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