罔 |
談 |
彼 |
短 |
罔談彼短(망담피단) |
없을 망 |
말씀 담 |
저 피 |
짧을 단 | |
靡 |
恃 |
己 |
長 |
靡恃己長(미시기장) |
아닐 미 |
믿을 시 |
자기 기 |
길 장 |
罔談彼短하고 靡恃己長하라.
남의 단점에 대하여 말하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믿지 말라.
남 모자라는 점 말하지 말고 내 좋은 점 믿지 말라.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 것이며, 나의 장점을 믿지 말라는 말이다. 그렇지 않으면 덕을 손상하고 말 것이다. 곧 남을 높여 주고 스스로를 낮추라는 말도 된다. 군자가 되는 길은 멀리 있지 않다. ≪書經서경≫ 說命(열명)편에 “스스로 잘났다고 여기면 그 잘남을 잃게 된다(厥善 喪厥善 궐선 상궐선)”고 하였으니, 남의 못난 점을 따지거나 자기가 잘났다고 으스대지 말라는 말이다. 맹자는 일찍이 ‘남의 단점을 말하다가 후환을 얻으면 어찌하려나’ 하였다. 이러한 태도만 꾸준히 지키면 군자가 될 수 있다. ≪文選(문선)≫에 나오는 崔子玉(최자옥)은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기의 장점을 기뻐하지 말라. 남에게 물건을 주었거든 생각지 말고 물건을 받았거든 잊지 말라”는 座右銘(좌우명)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사람들의 결점이란 스스로를 자랑하고 남을 흉보는 일인데, 이것만 고쳐도 도덕군자나 선비라는 말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공자의 학문을 이어받은 맹자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25[墨悲絲染 詩讚羔羊] (0) | 2015.10.06 |
---|---|
천자문 24[信使可覆 器欲難量] (0) | 2015.10.02 |
천자문 22[知過必改 得能莫忘] (0) | 2015.09.25 |
천자문 21[女慕貞烈 男效才良] (0) | 2015.09.24 |
천자문 20[恭惟鞠養 豈敢毁傷] (0) | 201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