愛育黎首(애육여수)
 : 명군(明君)이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 黎首(백성)를 사랑하고 양육하면

사랑 애

기를 육

검을 려

머리 수

 臣伏戎羌(신복융강)
 : 그 덕에 융과 강(오랑캐들)도 항복하여 신민(臣民)이 된다.

신하 신

엎드릴 복

오랑캐 융

오랑캐 강

 

愛育黎首하면 臣伏戎羌하고

 

백성을 친자식처럼 아껴 기르면, 모든 오랑캐들도 신하가 되어 엎드린다.

 

'여수()'는 검은 머리라는 뜻으로, 논과 밭에서 일하느라 살갗이 그을려 까맣게 된 백성들을 상징하는 말입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소수의 귀족 계층을 제외한 일반 백성들은 모두 농노와 노예의 신분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춘추시대 제후국들의 제후()들이 추구한 부국() 정책을 위해서 농업 생산에 매달려야 했고, 강병() 정책을 위해서는 전쟁에 '화살받이'로 동원되었습니다. 어쨌든 춘추시대의 제후들에게 영토와 더불어 인구는 침략과 정복 전쟁의 한복판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었습니다. 많은 영토와 많은 인구를 가진 제후일수록 농업생산과 전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후들은 영토와 함께 인구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혈안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애육여수 : 백성들을 아껴 기른다)'라는 생각 역시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 때문에 나오지 않았을까 추측해봅니다. 그러나 실제로 제후들에게 일반 백성은 농업 생산과 정복 전쟁을 위해 필요한 존재였을 뿐이었습니다.

'융강()'은 고대 중국 대륙의 서북쪽에 살았던 유목민족인 융족()과 강족()을 말하는데, 여기에서는 중국 주변의 모든 오랑캐를 상징하는 말입니다. 중국의 세계관은 잘 알다시피, 화이관()입니다. 곧 고대 중국이 생각한 세계란, 세상의 중심을 지배하는 한족()과 한족의 지배를 받아 복종하는 주변의 오랑캐들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입니다.

이와 같은 세계관의 존재는 신화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한족()의 시조신()인 황제()는 신 중의 신으로 세상의 중심을 지배하는 중앙신()입니다. 그는 남방()의 신인 염제를 물리치고 또 동쪽 오랑캐의 신()인 치우()를 무찔러 천상과 지상 모두를 지배하는 신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한족()의 신인 황제가 주변의 신들을 제압하고 세상을 지배한다는 신화는 철저하게 중국의 세계관과 닮아 있습니다. 중국사 특히 황하를 중심으로 발전한 한족()의 역사는 예로부터 문화나 부족이 자신들과 조금만 달라도 오랑캐로 취급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춘추전국시대 당시 황하에 위치한 중원의 제후국들은 - 우리가 당연히 고대 중국의 일부라고 생각하고 있는 - 진()나라를 서쪽의 오랑캐로, 또 초()나라를 남쪽의 오랑캐로 무시해 왔습니다. 그렇다면 진()나라는 오랑캐로서 중국 대륙을 정복한 최초의 국가가 되는 셈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백성과 오랑캐 다스리기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坐朝問道(좌조문도)
 : 천하를 통일하여 왕위에 앉아, 나라 다스리는 법을 묻는다면

앉을 좌

조정 조

물을 문

길 도

 垂拱平章(수공평장)
 : 밝고 평화스럽게 다스리는 길을 임금이 겸손히 생각함을 말한다.

드리울 수

두 손 맞잡을 공

평평할 평

글월 장

 

 

 

坐朝問道 垂拱平章

 

조정에 앉아서 도(道)를 묻고, 옷자락을 늘어뜨리고 팔짱만 끼고도 밝게 다스려진다.

 

유래 및 용례

 

(좌조문도)’는 임금은 (정사)의 본바탕 도리를 묻고 듣기만 하면 스스로 원칙을 세우지 않아도 잘 다스려진다는 뜻으로, (황로)에서 말하는 꿈 같은 임금 (상)을 가리키고 있다. ‘황로’는 황제와 노자를 가리킨다. ‘(수공평장)’은 ≪서경≫ (무성)편에 나오는 ‘신용을 두텁게 하고 의리를 밝히며, 덕을 높이고 공로를 갚는다면, 옷을 드리우고 손을 마주잡고도 천하가 다스려진다 (돈신명의 숭덕보공 수공이천하치)’를 다시 쓴 것이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좌조문도수공평장 [坐朝問道垂拱平章]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다스리려고 하지 않아도 다스려진다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弔民伐罪(조민벌죄)
 : 불쌍한 백성은 돕고 죄지은 백성은 벌주었다.

슬퍼할 조

백성 민

칠 벌

허물 죄

 周發殷湯(주발은탕)
 : 주발은 주나라 무왕(武王)의 이름이고, 은탕은 은나라 탕왕(湯王)의 칭호이다.

두루 주

쏠 발

성할 은

끓을 탕

 

 

弔民伐罪 周發殷湯이니라

 

백성들을 어루만지고 죄지은 사람을 친 것은, 주나라 무왕 발과 은나라 탕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혁명을 일으켜 폭군을 벌하다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推位讓國(추위양국)
 : 벼슬을 미루고 나라를 사양하여 왕위를 물려주었으니

밀 추

자리 위

사양할 양

나라 국

 有虞陶唐(유우도당)
 : 유우는 왕위를 물려받은 순()임금이요, 도당은 왕위를 물려준 우()임금이다. , 중국 고대 제왕들이다.

있을 유

헤아릴 우

질그릇 도

당나라 당

 

推位讓國有虞陶唐이라.

 

자리를 물려주어 나라를 넘겨준 것은, 요임금과 순임금이다.

 

복희씨가 (서계)를 만들어 結繩文字(결승문자)를 대신하였으며, 그 신하인 (창힐)이 새 발자국을 보고 글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황제는 (의제)를 만들어 착용하도록 하였다. 중국에서는 상고시대에 이미 글자를 만들었던 것이다. 한자가 우리나라의 문자라는 주장도 있다. 중국의 한자와 우리나라의 한자가 다르고 동이족이 한자를 만들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아직 제대로 규명된 바는 없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시제문자내복의상 [始制文字乃服衣裳]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태평성대를 누린 요임금과 순임금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始制文字(시제문자)
 : 복희씨의 신하 창힐이라는 사람이 새의 발자국를 보고 글자를 처음 만들었다.

처음 시

지을 제

글월 문

글자 자

 乃服衣裳(내복의상)
 : 이에 의상을 입게 하니 황제가 의관을 지어 등분을 분별하고 위의(위엄이 있는 몸가짐이나 차림새)를 엄숙케 하였다.

이에 내

옷 복

옷 의

치마 상

 

始制文字하고 乃服衣裳하니라

 

비로소 글자를 만들었고, 처음으로 윗옷과 아래옷을 입었다.

 

복희씨가 (서계)를 만들어 結繩文字(결승문자)를 대신하였으며, 그 신하인 (창힐)이 새 발자국을 보고 글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황제는 (의제)를 만들어 착용하도록 하였다. 중국에서는 상고시대에 이미 글자를 만들었던 것이다. 한자가 우리나라의 문자라는 주장도 있다. 중국의 한자와 우리나라의 한자가 다르고 동이족이 한자를 만들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아직 제대로 규명된 바는 없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시제문자내복의상 [始制文字乃服衣裳]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중국 문화와 문명의 아버지 - 황제(黃帝)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龍師火帝(용사화제)
 : 복희씨는 용으로써 벼슬을 기록하고, 신농씨는 불로써 기록하였다.
 용의 모습으로 8괘를 가르친 스승인 복희씨, 불을 다스린 황제인 신농씨를 말한다.

용 용

스승 사

불 화

임금 제

 鳥官人皇(조관인황)
 : 소호(小昊)는 새로써 벼슬을 기록하고, 황제(皇帝)는 인문을 갖추었으므로 인황이라 하였다.

새 조

벼슬 관

사람 인

임금 황

 

 

龍師火帝 鳥官人皇이라

 

복희씨는 용으로 벼슬 이름을 하였고, 신농씨는 불로 하였으며, 소호씨는 새 이름으로 하였고,황제는 사람의 (문화)를 열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설 속의 삼황(三皇)과 오제(五帝)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유래 및 용례

 

고대 중국의 제왕에는 용사가 있었고, 또 화재, 조관, 인황이 있었다. 옛날 옛적 제왕들을 三皇五帝(삼황오제)라 한다. ‘삼황’은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세 임금으로 (천황씨), (지황씨), (인황씨) 또는 (복희씨), (신농씨), (수인씨)를 말하고, ‘오제’는 고대 중국의 다섯 (성군)으로 (소호) 또는 (황제), (전욱), (제곡), (요), (순)을 말함. 출전 (천자문). [주1] (용사) 중국의 고대 제왕인 (복희씨)이다. (복희씨)의 우두머리이며, (팔괘)를 처음으로 만들고 그물을 발명하여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복희의 시대에 용이 나타나 (길조)가 보였으므로 복희씨는 용으로써 벼슬이름을 삼았다. 그러므로 용사라고 부르게 되었다. 복희씨 시대에 (창룡씨)는 만물을 자라게 하는 일을 맡았고, (백룡씨)는 만물을 죽이는 일을 맡았다고 한다. [주2] (화제) 중국의 고대 제왕인 (신농씨)이다. 삼황의 한 사람으로 농업·의료·(악사)의 신, (주조)와 (양조)의 신이며, 또 (역)의 신, 상업의 신이라고도 한다. 보통 (염제)라고 부르는데 불로 인해 상서로운 일이 있었으므로 불로써 벼슬이름을 삼았다. [주3] (조관) 중국의 고대 제왕인 (소호씨)이다. 삼황의 한 사람으로, 즉위할 때 (봉조)가 나타났다 하여 새 이름으로 관직명을 지었다 한다. 봉황은 서조이므로 상서롭게 여기고 새 이름으로써 관명을 삼았다는 것이다. (조사)라고도 부른다. [주4] (인황) (황제)이다. 중국인의 직속 조상이라고 일컬어지는 전설 속 제왕으로, ‘삼황신화’에서 벗어나 지적 능력의 합리성에 바탕을 둔 ‘(인문)’을 내세웠다는 뜻에서 ‘(인황)’으로 부른다. ≪소녀경≫에 나오는 황제가 바로 이 (헌원씨)라고 한다. (동이족) 우두머리라고 알려진 (치우)와 (중원) (대륙)을 놓고 (쟁패)했다는 인물이다. [주5] (치우) 동이족의 우두머리 중 한 사람이라고 알려진 인물. 우리나라 재야 사학자들에 의하면 4천5백 년 전 고조선 14대 왕으로 한족 왕이었던 (황제)와 74회에 걸친 전쟁을 벌여 74회 모두 이겼다고 함. 결정적이었던 것이 ‘涿鹿(탁록)벌 싸움’이었고, 그때부터 한족들은 치우를 무서운 전쟁 신으로 여겨 제사를 지내게 되었음. 치우의 모습을 형용하는 말이 숙어 ‘銅頭鐵額(동두철액)’으로 ‘구리 머리에 쇠 이마’라는 뜻이다. 현재 중국의 경극에 치우나 연개소문이 전쟁의 신이나 악의 화신으로 나온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용사화제조관인황 [龍師火帝鳥官人皇]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Posted by 물간제비
,

 海鹹河淡(해함하담)
 : 바다 물은 짜고 민물은 아무 맛도 없고 맑다.

바다 해

짤 함

물 하

묽을 담

 鱗潛羽翔(인잠우상)
 : 비늘 있는 고기는 물 속에 잠기고 날개 있는 새는 하늘을 난다.

비늘 린

잠길 잠

깃 우

높이 날 상

 

 

海는 鹹하고 河는 淡하며, 鱗은潛하고 羽는 翔하니라

 

바다는 짜고 하천은 맑으며, 비늘 달린 고기는 물 속에 잠기고 깃털 달린 새는 날아다닌다.

 

 

[네이버 지식백과] 거인 반고의 죽음이 가져온 바다와 강의 탄생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果珍李柰(과진이내)
 : 과실 중에 오얏(자두)과 능금나무의 그 진미가 으뜸임을 말한다.

과실 과

보배 진

오얏 리

능금나무 내

 菜重芥薑(채중개강)
 : 나물은 겨자와 생강이 중요하다.

나물 채

무거울 중

겨자 개

생강 강

 

 

에는 珍李柰하고에는 重芥薑하니라

 

과일 중에서는 오얏과 사과를 귀하게 여기고, 채소 중에서는 겨자와 생강을 소중하게 여긴다.

 

[네이버 지식백과] 왜 중국인들은 오얏과 사과, 겨자와 생강을 소중하게 여겼을까?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劍號巨闕(검호거궐)
 : 거궐은 칼이름이고 구야자가 만든 보검이다. 즉 조나라의 국보다.

칼 검

이름 호

클 거

대궐 궐

 珠稱夜光(주칭야광)
 : 구슬의 빛이 밤의 낮 같으니 야광이라 칭하였다.

구슬 주

일컬을 칭

밤 야

빛 광

 

 

 에는 號巨闕하고 에는 稱夜光하니라

 

칼 가운데는 ‘거궐’을 입에 올려 부르고, 구슬 가운데는 ‘야광’이라 일컫는 것이 있다.

 

(지상)에는 (거궐)이라고 이름하는 (명검)이 있고, (해중)에는 (야광)이라 일컫는 구슬이 있다는 말이다. 거궐은 (오)나라 (구야자)가 만든 것으로, (구천)이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얻은 여섯 자루 보검인 (오구), (담로), (간장), (막야), (어장), (거궐) 가운데 하나라고 한다. 춘추시대 (수)나라 임금이 용의 아들을 살려 주자 용은 지름이 한 치가 넘는 진주를 주어 그 은혜에 보답하니 진주가 빛나 밤에도 대낮과 같이 환했다고 하니 그것이 야광주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검호거궐주칭야광 [劒號巨闕珠稱夜光]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전설 속의 최고의 검과 최고의 보배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

 金生麗水(금생여수)
 : 금은 여수에서 나니, 여수는 중국의 지명이다.

쇠 금

낳을 생

고울 려

물 수

 玉出崑岡(옥출곤강)
 : 옥은 곤강에서 나니, 곤강은 역시 중국의 산 이름이다.

구슬 옥

날 출

산이름곤

언덕 강

 

 

하고 하니라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륜산에서 나온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물의 생산지 - 여수와 곤륜산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