鳴 |
鳳 |
在 |
樹 |
鳴鳳在樹(명봉재수) |
울 명 |
봉황새 봉 |
있을 재 |
나무 수 | |
白 |
駒 |
食 |
場 |
白駒食場(백구식장) |
흰 백 |
망아지 구 |
먹을 식 |
마당 장 |
鳴鳳在樹 白駒食場
우는 봉황새가 나무에 있고, 흰 망아지는 마당에서 풀을 뜯어 먹는다.
名君聖賢(명군성현)이 다스리는 세상이 되면 瑞鳥(서조)인 봉황이 나타나고, 망아지 같은 네발 달린 짐승들도 사람을 잘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태평한 시대에는 천지가 和樂(화락)하고 그 기운은 새나 짐승에게까지 미치며 봉황이 나타나 오동나무에서 운다고 한다. 또 현자가 왕과 대화하는 동안 그가 타고 온 망아지는 마당가에서 평화롭게 풀을 뜯는다는 말이니, 봉황과 백구를 등장시켜 평화스럽게 다스려지는 시대를 묘사한 구절이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명봉재수백구식장 [鳴鳳在樹白駒食場]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상서로운 짐승 - 봉황과 망아지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19 [蓋此身髮 四大五常] (0) | 2015.09.22 |
---|---|
천자문 18 [化被草木 賴及萬方] (0) | 2015.09.21 |
천자문 16 [遐邇壹體 率賓歸王] (0) | 2015.09.17 |
천자문 15 [愛育黎首 臣伏戎羌] (0) | 2015.09.16 |
천자문 14 [坐朝問道 垂拱平章] (0) | 201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