始 |
制 |
文 |
字 |
始制文字(시제문자) |
처음 시 |
지을 제 |
글월 문 |
글자 자 | |
乃 |
服 |
衣 |
裳 |
乃服衣裳(내복의상) |
이에 내 |
옷 복 |
옷 의 |
치마 상 |
始制文字하고 乃服衣裳하니라
비로소 글자를 만들었고, 처음으로 윗옷과 아래옷을 입었다.
복희씨가 書契(서계)를 만들어 結繩文字(결승문자)를 대신하였으며, 그 신하인 蒼頡(창힐)이 새 발자국을 보고 글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황제는 衣制(의제)를 만들어 착용하도록 하였다. 중국에서는 상고시대에 이미 글자를 만들었던 것이다. 한자가 우리나라의 문자라는 주장도 있다. 중국의 한자와 우리나라의 한자가 다르고 동이족이 한자를 만들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아직 제대로 규명된 바는 없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시제문자내복의상 [始制文字乃服衣裳]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13 [弔民伐罪 周發殷湯] (0) | 2015.09.15 |
---|---|
천자문 12 [推位讓國 有虞陶唐] (0) | 2015.09.15 |
천자문 10 [龍師火帝 鳥官人皇] (0) | 2015.09.15 |
천자문 9 [海鹹河淡 鱗潛羽翔] (0) | 2015.09.15 |
천자문 8 [果珍李柰 菜重芥薑] (0) | 201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