容 |
止 |
若 |
思 |
容止若思(용지약사) |
얼굴 용 |
그칠 지 |
같을 약 |
생각 사 | |
言 |
辭 |
安 |
定 |
言辭安定(언사안정) |
말씀 언 |
말씀 사 |
편안할 안 |
정할 정 |
容止若思하고 言辭安定이라.
매무새와 몸가짐을 마치 생각하는 듯하고, 말의 씀씀이는 조용하고 올바르게 해야 한다.
進退擧動(진퇴거동)에 있어 항상 過失(과실)이 없기를 생각하고, 言辭(언사)는 緩急(완급)을 잘 살펴서 분명히 해야 한다. ≪鬼谷子(귀곡자)≫ 權(권) 편에서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曰病 曰怨 曰憂 曰努 曰喜 왈병 왈원 왈우 왈노 왈희”라 하여 불건전한 말, 원망하는 말, 근심스러운 말, 화를 내는 말, 기뻐하는 말 등 다섯 항을 열거해서 이것들을 되도록이면 하지 말 것을 훈계했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용지약사언사안정 [容止若思言辭安定]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군자 이야기 3 - 일상생활에서의 행동거지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38[榮業所基 籍甚無竟] (0) | 2015.10.29 |
---|---|
천자문 37[篤初誠美 愼終宜令] (0) | 2015.10.28 |
천자문 35[川流不息 淵澄取映] (0) | 2015.10.23 |
천자문 34[似蘭斯馨 如松之盛] (0) | 2015.10.22 |
천자문 33[臨深履薄 夙興溫凊] (0) | 2015.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