川流不息(천류불식)
 : 내가 흘러 쉬지 아니하니 군자의 행동거지(꾸준한 노력)를 말한 것이며

내 천

흐를 류

아닐 불

쉴 식

 淵澄取映(연징취영)
 : 연못이 맑아서 비치니 즉 군자의 고요한 마음을 말한 것이다.

못 연

맑을 징

취할 취

비칠 영

 

川流不息하고 淵澄取映이라.

 

냇물은 흘러서 쉬지 않고, 깊은 못의 물은 맑디맑아서 속까지 비쳐 보인다.

 

 

(공자)는 냇물이 쉬지 않고 흐르는 것을 볼 때마다 “물이로다.” 하고 탄식했다. 주야를 가리지 않고 흘러가는 냇물을 보며 인간이 저렇게 수양을 한다면 성인이 될 수가 있었을 것이라고 탄식했을 것이다. 작은 물줄기가 졸졸 흐르지만 쉬지 않고 흘러가므로 마침내 큰 강에 이르고 또 (대해)로 들어가는 것이다. ≪(논어)≫ (자한)편에 “가는 것은 이와 같겠지, 밤낮을 가리지 않으니 서자여사부 불사주야”를 다시 쓴 말이다. 自强不息(자강불식)이라는 말이 ≪(주역)≫에 있다. 곧 스스로 굳세어 쉬지 않는다는 말이다. 자강불식에서 천류불식이라는 말이 뜻하는 바를 유추할 수 있다. 천류불식은 높은 덕을 이루기 위한 끊임없이 정진하는 것이며, 천류불식과 같이 행한다면 인간은 연징취영의 상태에 도달한다. 사람이 덕을 닦는 데 게을리하지 않고 학문을 깊이 연구하기를 쉬지 않는다면 큰 사람이 될 수 있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천류불식연징취영 [川流不息淵澄取映]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네이버 지식백과] 군자 이야기 2 - 홀로 높고 밝게 보아야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