恬 |
筆 |
倫 |
紙 |
恬筆倫紙(염필륜지) |
편안할 념 |
붓 필 |
인륜 륜 |
종이 지 | |
鈞 |
巧 |
任 |
釣 |
鈞巧任釣(균교임조) |
고를 균 |
공교할 교 |
맡길 임 |
낚시 조 |
恬筆倫紙와 鈞巧任釣라
蒙拈(몽염)의 붓, 蔡倫(채륜)의 종이, 마균의 교묘한 指南車(지남차) 任公子(임공자)의 낚싯대.
문명을 이룩하는 데 필수 요소인 붓, 종이, 지남차, 화약 등이 일찍이 중국에서 만들어진 일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이 구절에서는 一技(일기)에 능한 사람이 이 세상을 유익하게 하고 문명과 문화의 발전을 촉진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문명을 연 사람들은 이름이 천 년에 걸쳐 전해진다는 점도 나타낸다. ≪史記사기≫에 몽념은 秦始皇(진시황) 때의 명장으로, 진이 천하를 통일하자(시황 26년) 시황의 명을 받아 30만 대군으로 흉노를 오르더스(옛날의 삭방군) 밖으로 몰아내고 만리장성을 쌓았다고 하는데 붓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으므로 몽념이 붓을 만들었다는 것은 믿기 어려운 말이다. 진 이전에 이미 붓이 쓰이고 있다는 말들이 古書(고서)에서 散見(산견)된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염필륜지균교임조 [恬筆倫紙鈞巧任釣]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118[毛施淑姿 工嚬姸笑] (0) | 2016.05.02 |
---|---|
천자문 117[釋紛利俗 竝皆佳妙] (0) | 2016.04.28 |
천자문 115[布射遼丸 𣒎琴阮嘯] (0) | 2016.04.25 |
천자문 114[誅斬賊盜 捕獲叛亡] (0) | 2016.04.21 |
천자문 113[驢騾犢特 駭躍超驤] (0) | 2016.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