驢 |
騾 |
犢 |
特 |
驢騾犢特(여라독특) |
나귀 려 |
노새 라 |
송아지 독 |
수컷 특 | |
駭 |
躍 |
超 |
驤 |
駭躍超驤(해약초양) |
놀랄 해 |
뛸 약 |
넘을 초 |
달릴 양 |
驢騾犢特이 駭躍超驤이라.
나귀와 노새 그리고 송아지와 소가, 놀라 날뛰고 뛰어 달린다.
사람은 집에서 여러 가지 가축을 기르는데, 이런 가축 중에서도 소와 말 종류가 잘 번식해서 뛰고 노는 모습을 말한 것이 이 구절이다. ≪禮記(예기)≫ 곡례에서는 “백성들이 잘살고 못사는 것을 물으면 가축의 數爻(수효)로써 이에 대답한다. 問庶人之富 數畜以對 문서인지부 수축이대”라고 하였다. 가축이 번성한다는 것은 그만큼 농민이 富(부)하고 통치자는 善政(선정)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여라독특해약초양 [驢騾犢特駭躍超驤]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여라(驢騾)'는 나귀와 노새를, '독특(犢特)'은 송아지와 소를 말합니다. 이 네 동물은 모두 고대 중국인들의 삶과 생활에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이 네 동물이 번성하면 백성들의 삶이 편안하고 생활이 부유하여 천하가 태평하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예기(禮記)』에 보면, 임금과 대부와 선비와 일반 백성의 부유함을 어떻게 판가름하는지에 대한 재미있는 일화가 나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옛날에는 가축이 부의 상징이었다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115[布射遼丸 𣒎琴阮嘯] (0) | 2016.04.25 |
---|---|
천자문 114[誅斬賊盜 捕獲叛亡] (0) | 2016.04.21 |
천자문 112[骸垢想浴 執熱願凉] (0) | 2016.04.19 |
천자문 111[牋牒簡要 顧答審詳] (0) | 2016.04.15 |
천자문 110[稽顙再拜 悚懼恐惶] (0) | 2016.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