稽顙再拜(계상재배)
 : 이마를 조아려 선조에게 두 번 절하는 예를 갖추고

조아릴 계

이마 상

거듭 재

절 배

 悚懼恐惶(송구공황)
 : 송구하고 공황하니, 엄중하고 공경함이 지극하여야 한다.(3년상 이후의 제사 때의 몸가짐이다.)

두려워할 송

두려워할 구

두려울 공

두려워할 황

 

 

稽顙再拜하고 悚懼恐惶이라.

이마를 땅에 조아리며 두 번 절하고, 두렵고 두려워서 거듭 공경한다.

 

 

제사를 올리고 손님을 대접하는 것은 군자의 중요한 임무인데 그 제사를 신중하게 모셔야 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예기≫ (단궁) (하)에도 “머리를 땅에 대고 절하는 것은 (애척)의 극으로서 더할 수 없이 측은한 것이니, (계상)이야말로 측은함의 자심한 바이다( 배계상 애척지지은야 계상은지심야)”라는 구절이 있다. (재배)는 두 번 절하는 것이니 죽은 사람에 대한 절이다. 조상님의 (기일)이 되면 제사를 올리되 마치 곁에 부모나 조상을 모신 것과 같이 정성을 다해서 공경하는 마음으로 올려야 하는 것이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계상재배송구공황 [稽顙再拜悚懼恐惶]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공자는 자신이 살던 시대를 구하고자 학문을 한 사람입니다. 그가 구하고자 한 시대는, 주()나라의 천자를 중심으로 한 천하의 질서가 무너진 이후 벌어진 제후국 간 혹은 제후국 내부의 피비린내 나는 영토 전쟁과 권력 투쟁의 시대였습니다. 춘추시대의 역사서인 『춘추()』에서 공자가 밝히고 있는 군주 시해 사건만도 36건이나 되고, 멸망한 제후국만 해도 52개국이나 됩니다. 그럼 공자는 자신의 시대를 어떤 방법을 통해 구하고자 했을까요?


 

[네이버 지식백과] 3례(三禮) - 『예기(禮記)』·『주례(周禮)』·『의례(儀禮)』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Posted by 물간제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