貽厥嘉猷(이궐가유)
 : 도리를 지키고 착한 일을 하여 자손에게 좋은 영향이 미치게 하며

끼칠 이

그 궐

아름다울 가

꾀할 유

 勉其祗植(면기지식)
 : 이러한 덕을 쌓아 자손에게 남겨 줄 것을 힘써야 한다.

힘쓸 면

그 기

공경할 지

심을 식

 

貽厥嘉猷하고 勉其祗植하라.

그 아름다운 계책을 주니, 공경히 심기에 힘써라.

 

'가유( : 아름다운 계책)'를 주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맹자의 입을 빌어서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맹자는 자신이 지은 저서 『맹자()』에서, 고대 중국인들이 현인() 혹은 성인()이라고 추앙하는 네 사람이 후대 사람들에게 무엇을 물려주었는지를 평가했습니다. 그 네 사람은 중국 고대 3왕조 중 은()나라의 명재상 이윤(), 은()나라 말기와 주()나라 초기의 은둔 현인() 백이(), 춘추시대 말기 노()나라의 현신() 유하혜() 그리고 유가의 창시자 공자()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군자가 후손에게 물려주는 것들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서경)≫ (군진)에 보면 “너에게 아름다운 계획과 아름다운 꾀가 있거든 들어가서 임금께 고하라( 이유가모가헌 즉입고 이후우내)” 하는 구절이 있다. 이 구절에 의거하여 풀이한다면 ‘덕성을 양성하면 훌륭한 계책을 뒤에까지 남길 것이고, 힘써 공경하여 (실덕)을 심을 것이다’라는 해석이 나온다. 사람이란 (덕성)을 기르고 (선행)을 함으로써 몸을 삼가면 그 사람은 좋은 (계책)을 후세에 남길 수 있다는 말이다. 자신의 직분에 충실하려면 평소에 (과실)이 없도록 謹愼(근신)하고 신분에 알맞은 (실덕)을 갖도록 힘써야 한다. 실덕이란 자신의 직분에 맞는 태도, 덕성 등을 말한다. 군자의 행실과 관련지어 풀이하면 ‘그 아름다운 계책을 끼쳐 줄 것이니 기꺼이 좋은 도를 심기에 힘써라’라는 해석이 나온다. 군자는 자손들에게 아름다운 계책을 물려주니 기꺼이 좋은 도를 심기에 힘써야 한다는 말이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이궐가유면기지식 [貽厥嘉猷勉其祗植]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Posted by 물간제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