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 |
軻 |
敦 |
素 |
孟軻敦素(맹가돈소) |
맏 맹 |
수레 가 |
도타울 돈 |
흴 소 | |
史 |
魚 |
秉 |
直 |
史魚秉直(사어병직) |
역사 사 |
물고기 어 |
잡을 병 |
곧을 직 |
孟軻敦素하고 史魚秉直이라.
맹가는 바탕을 두텁게 하였고, 사어는 올곧음을 끝까지 지켰다.
'맹가(孟軻)'에서 가(軻)는 맹자(孟子)의 이름입니다. 맹자는 유학의 본 고장이라고 할 수 있는 공자의 고향 노(魯)나라와 이웃하고 있는 추(鄒)나라 출신입니다. 이 추나라는 노나라에 종속되어 있던 나라로서, 노나라의 풍속과 문화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었습니다. 그래서 공자와 그 제자들이 주창한 유가(儒家)의 학설과 사상이 노나라만큼 유행하던 곳입니다. 맹자는 공자가 사망한 후 100여 년이 지난 기원전 372년에 태어났습니다. 따라서 맹자는 공자로부터 직접 배운 적이 없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제자라고 주장하는데, 이 주장은 많은 학자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습니다. 맹자가 공자 → 증자 → 자사로 이어지는 유가의 정통 학맥을 계승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자사가 사망한 년도를 기원전 402년경으로 추정하는데, 어떻게 그후에 태어난 맹자를 가르칠 수 있느냐는 이야기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삶의 바탕과 올곧음을 보여준 맹자와 사어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맹자는 바탕을 도탑게 하였고, 사어는 올곧음을 굳게 지켰다. 맹자는 본바탕을 돈독히 닦았으며 천부의 소성을 완수하고자 돈소설을 제창했고, 사어는 한결같이 하여 正直(정직)함을 잃지 않았다. 임금 앞에서도 죽기로 맹세하고 간언을 했다. 唐(당)나라의 李翰(이한)이 지은 ≪蒙求(몽구)≫에 “맹가는 소성을 길렀다(孟軻養素 맹가양소)”는 구절이 있는데, 소성은 곧 하늘에서 받은 맑은 성품으로, 성선설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또 ≪論語(논어)≫ 衛靈公(위령공) 편에 보면 “곧도다, 사어여! 나라에 정도가 행해져도 살대같이 곧았고, 나라에 正道(정도)가 행해지지 않아도 살대같이 곧았도다(直哉史魚 邦有道如矢 邦無道如矢 직재사어 방유도여시 방무도여시)”라는 구절이 있다. 이 말은 곧 하늘로부터 받은 순수한 성품을 더럽히지 말고 나쁜 것에 물들지 말며, 살대같이 곧게 살아야 한다는 뜻이 된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맹가돈소사어병직 [孟軻敦素史魚秉直]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87[聆音察理 鑑貌辨色] (0) | 2016.02.15 |
---|---|
천자문 86[庶幾中庸 勞謙謹勅] (0) | 2016.02.14 |
천자문 84[稅熟貢新 勸賞黜陟] (0) | 2016.02.12 |
천자문 83[俶載南畝 我藝黍稷] (0) | 2016.02.11 |
천자문 82[治本於農 務玆稼穡] (0) | 2016.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