陞階納陛(승계납폐)
 : 문무백관이 계단을 올라 임금께 납폐하는 절차이니라.

오를 승

섬돌 계

바칠 납

섬돌 폐

 弁轉疑星(변전의성)
 : 많은 사람들의 관()에서 번쩍이는 구슬이 별인가 의심할 정도이다.

고깔 변

구를 전

의심할 의

별 성

 

陞階納陛하니 弁轉疑星이라.


 

계단을 올라 섬돌로 들어가니, 고깔 움직이는 것을 별인가 의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폐하(陛下)'라는 말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계단은 당 밖에 있으니 여러 신하들이 오르는 곳이고, 폐는 당 안에 있으니 높은 사람이 오르내리는 계단이다. 납폐는 궁전의 터를 파서 섬돌을 만들어 용마루 아래로 들어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오르게 하는 것이다. 고깔에는 삼량, 오량, 칠량이 있는데 량에는 모두 구슬이 달려 있으며 계급에 따라 량을 달리한다. 이 구절은 (조정)의 고관대작들이 (외관)을 (정제)하고 (층계)를 오르내리면서 궁중에 들어가 (옥좌) 앞에 이를 때, 그들의 관에 (품계)에 따라 붙인 輝煌燦爛(휘황찬란)한 주옥들이 출렁거리며 번쩍이는 모양이 마치 밤하늘의 별처럼 화려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출전 (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승계납폐변전의성 [陞階納陛弁轉疑星]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Posted by 물간제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