妾 | 御 | 績 | 紡 | 妾御績紡(첩어적방) |
첩 첩 | 모실 어 | 길쌈 적 | 길쌈 방 | |
侍 | 巾 | 帷 | 房 | 侍巾房(시건유방) |
모실 시 | 수건 건 | 휘장 유 | 방 방 |
妾御績紡하고 侍巾帷房이라.
아내와 첩은 길쌈을 하고, 장막 친 안방에서 수건 들고 시중든다.
妾(첩)은 반드시 첩실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正妻(정처)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여자들은 길쌈을 하고 장막 친 방 안에서 수건 등을 시중들어 모시라는 말이니 이 글은 婦德(부덕)을 논한 것이다. 여자가 집안 살림을 잘하고 지아비를 위해 봉사하라는 말이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네이버 지식백과] 첩어적방시건유방 [妾御績紡侍巾帷房]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이담북스)
고대 중국인은 물론 유교 문화권에 속하는 동아시아 사회에서 이상적인 여성상이 '현모양처(賢母良妻)'라는 것은 모두들 잘 아실 것입니다. 이 현모양처는 다르게 표현하면, 팔방미인형 여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의식주, 자녀교육, 남편 시중, 하인 관리, 친척 접대 등에 이르기까지 집안의 모든 대소사(大小事)를 주관하여 처리하는 사람이 바로 현모양처이기 때문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여자의 미덕(美德) - 길쌈과 시중 (천자문뎐, 2009. 12. 15., 포럼)
'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106[晝眠夕寐 藍筍象牀] (0) | 2016.04.04 |
---|---|
천자문 105[紈扇圓潔 銀燭煒煌] (0) | 2016.04.01 |
천자문 103[親戚故舊 老小異糧] (0) | 2016.03.29 |
천자문 102[飽飫烹宰 飢厭糟糠] (0) | 2016.03.28 |
천자문 101[具膳飡飯 適口充腸] (0) | 2016.03.16 |